구글 애드센스와 네이버 애드포스트 비교 애드센스 승인되는 방법

2023. 3. 14. 00:47블로그 연구소

반응형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받는데까지 나는 적지않은 시간을 투자했다.

내가 티스토리로 구글 애드센스를 받으려고 계획했을때는

티스토리 초대장이 있어야지만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었던 시기였었고,

그때 초대장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을 정도였다.

심지어 중고거래 카페에서 티스토리 초대장을 사고 팔기도 했을 정도 이다.

 

지금은 구글 애드센스 입문코스라고 할 수 있는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이 정말 쉬워져

누구라도 시작할 수 있다는것이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만큼 승인의 벽도 높아졌을거라 생각된다.

나는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블로그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애드포스트를 승인받아 수익을 얻고 있고

티스토리 블로그도 애드센스를 승인받아 수익을 얻고 있다.

 

두가지 블로그를 운영하며 애드포스트와 애드센스를 비교하자면

한마디로 수익의 차이가 크다는 것.

 

블로그를 내가 개인의 만족과 퍼스널브랜딩을 위한 목적으로 운영한다면

네이버 블로그가 맞을 것이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승인은 결코 어렵지 않다.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사람이 좋은 품질의 글을 꾸준하게 쓴다면

애드포스트 승인은 어렵지않게 받을 수 있다.

 

애드포스트를 승인받으면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 뿐만아니라 카페, 밴드, 

인플루언서 홈과 같은 곳에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고 

광고노출로 인한 수익을 받을 수 있다. 

그 광고 수익이 얼마 안된다는것이 문제라는것.

 

티스토리는 다음 카카오가 인수를 하고 난 뒤에

티스토리에 카카오 광고를 넣을 수 있으나,

카카오 광고보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넣는것이 현명할것이라 생각된다.

 

 

구글 애드센스는 구글이 운영하는 광고 프로그램이다.

웹사이트 소유자. 그리고 콘텐츠 제작자가 자신의 웹사이트나 유튜브 채널에

광고를 표시해서 온라인 콘텐츠를 수익화 할 수 있는것이 구글 애드센스다.

애드센스는 신청한다고 승인을 해주는것이 아니라, 

애드센스에서 콘텐츠의 품질을 검수한 뒤 승인을 해주는 방법으로

유튜브에서 보이는 광고도 애드센스 광고이고,

티스토리에서 보이는 광고도 애드센스 광고이다.

 

여기서 잠깐!

유튜브에서 광고수익을 받는 채널을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티스토리에 애드센스가 달리지 않는다.

하여, 티스토리와 유튜브는 별개로 생각하고 승인 조건을 맞춰야 한다.

 

구글 애드센스 어떻게 승인 받았을까?


내가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위해 투자한 시간은 6개월이며,

그때는 2017년도이다.

내가 6개월만에 승인을 받았다고 했을때에도 사람들은 정말 대단하다고 할 정도로

애드센스는 그때도 넘사벽 그자체였다.

 

애드센스를 승인받기 위한 카더라 뉴스도 많이 있었고,

강의도 많았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적어도 3번이상 떨어질 각오하고 중도포기 하지 않고 꾸준하게 포스팅하는것이

제일 중요하다.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해 일정량의 컨텐츠를 만들어놓고

심사를 받는다. 이때 심사결과가 올때까지 손을 놓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 봤다.

절대, 쉬지말고 컨텐츠를 올리는것이 중요하다.

 

그럼 승인을 받는 조건은 어떻게 될까?

이렇게 생각해보자.

애드센스는 광고회사다. 광고회사가 광고를 하려고 하는데,

어디에 광고를 걸어놔야 우리 광고가 잘 노출이 될지 중요하지 않을까?

전광판 광고라면, 차들이 많이 다니는 사거리나 고속도로가 막히는 지점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번화가에 돈을 더 주더라도 전광판 광고를 달겠다고

건물주에게 의뢰할 것이다.

 

 

우리는 온라인 건물주여야만 한다.

내 건물의 위치가 지금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곳의 번화가 인지

아니면 외딴 시골인지 잘 살펴봐야하는것이다.

사람들이 좋아하고, 광고주가 좋아할만한 주제를 선택한 뒤

그 주제에 관한 콘텐츠를 승인 받을때까지 써라.

퀄리티 높은 글은 반드시 노출을 시켜주는 구글의 특성을 기억할 것!

 

반응형

'블로그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이웃 늘리기  (0) 2023.05.27
무자본창업과 정부지원사업  (0) 202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