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9. 22:31ㆍ창업 연구소
완결성있는 가설 만들려고 했다가 실패했었던 과거
해외 구매대행업이 쉬워보여서 해외 구매대행업을 신고하고 시작하려고 시도했다
해외구매에 대해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될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시도했더니
해야할것이 많았다.
미리 팔아보기를 해보지않고 먼저 완벽하게 준비해둬야겠다는 생각이 앞섰던것 같다.
신고를 먼저 한 탓에 세금만 더 많이 냈다.
챌린지 구간에 직면했을때 어떤식으로 액션할 것인가?
하지만이 아닌 그리고를 선택하자.
퍼실리테이터 과정에서 배웠던것을 써먹을때가 왔다.
내가 똑똑하지 않다면 다른사람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자
내가 하지않으면 남이 할것이라는 생각으로 도전해야할 때이다.
린스타트업에 대해서
Lean Startup 방법론은 신속한 실험, 검증된 학습 및 반복적인 제품 개발을 강조하는 비즈니스 접근 방식입니다.
에릭 리스(Eric Ries)가 저서 "린 스타트업(The Lean Startup)"에서 처음 소개했으며 이후 기업가와 스타트업에서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Lean Startup의 기본 아이디어는 MVP(최소 실행 가능한 제품)를 가능한 한 빨리 출시한 다음 고객으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여 제품을 개선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프로세스는 제품 시장 적합성이 달성될 때까지 반복되며, 이는 제품이 목표 시장의 요구를 충족함을 의미합니다.

이제 성공적인 Lean Startup 사례 연구인 Dropbox를 살펴보겠습니다.
Dropbox는 Drew Houston과 Arash Ferdowsi가 2007년에 설립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인 문제인 파일 공유에 대한 간단한 솔루션을 만들었습니다.
MVP는 사용자가 클라우드에 파일을 저장하고 모든 장치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기본 파일 공유 서비스였습니다.
창립자들은 2008년에 MVP를 출시했고 제품 시장에 적합하다는 것을 빠르게 깨달았습니다. 그
들은 얼리 어답터들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를 제품 개선에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파일 동기화, 공유 및 공동 작업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Dropbox의 설립자인 Drew Houston은 MIT에서 공부할 때 집에서 USB 드라이브를 자주 잊어버렸고, 모든 장치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는 솔루션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휴스턴은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파일 공유 솔루션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휴스턴은 완벽한 제품을 만드는 대신 MVP(Minimal Viable Product)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초기 고객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기능을 갖춘 제품의 기본 버전입니다.
Dropbox용 MVP는 사용자가 클라우드에 파일을 저장하고 모든 장치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간단한 파일 공유 서비스였습니다. MVP는 기능이 제한적이었지만 휴스턴이 파악한 주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2008년 MVP를 출시한 후 휴스턴과 그의 팀은 얼리어답터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품을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피드백을 사용하여 파일 동기화, 공유 및 공동 작업과 같은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제품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개선함으로써 Dropbox는 제품 시장 적합성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회사는 또한 린(Lean) 원칙을 사용하여 비용을 줄이고 낭비를 제거하며 프로세스를 최적화했습니다.
Dropbox의 린(Lean) 접근 방식 덕분에 회사는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면서 빠르게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Dropbox의 성공은 Lean Startup 방법론의 힘을 보여줍니다.
최소한의 실행 가능한 제품을 신속하게 출시하고, 피드백을 수집하고, 반복하는 회사의 능력을 통해 제품 시장 적합성을 달성하고 신속하게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회사의 접근 방식은 클라우드 컴퓨팅 업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신생 기업 중 하나가 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창업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을 처음 시작하기 위한 방법 - 부의 트랜드 (0) | 2023.05.10 |
---|---|
창업을 위한 비즈니스 사례 3개이상 분석해보자 (0) | 2023.05.10 |
창업가 되기 1일차 : 긍정적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환경 설계 (1) | 2023.05.08 |
무자본창업하는 방법 5만원에 배울수있는 방법 (0) | 2023.04.09 |
무자본창업 이렇게 준비하세요 (0) | 2023.04.07 |